자녀에게 의존하지 않고 자신들만의 여생을 즐기는 새로운 노인층 '통크(Tonk: Two only no kids)'족이 새로운 소비자집단으로 등장이 예상됨에 따라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는 19일 '새로운 소비자집단 등장과 기업의 대응' 보고서에서 "최근 젊은 층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자기중심적이고 감각지향적인 소비패턴이 노년층까지 확산조짐을 보이고 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통크족이란 자녀에게 부양받기를 거부하고 부부끼리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노인 세대를 말한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실버시장 규모는 25조원, 2010년에는 37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1990년 이후 55세 이상 노인가구의 소득은 매년 10%씩 늘어나고 있고 2010년에는 국민연금 등 연금수급권자가 400만명에 달하는 등 경제력을 갖춘 고령인구가 소비의 주체세력으로 등장할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최근 한 조사기관의 조사 결과 60세 이상 노인 중 63%가 통크족을 희망했다.
또 지난 5월 대한상의가 서울에 있는 직장인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노후대비 자금을 마련하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2년전(32.4%)에 비해 두 배 가까이(64.6%) 늘어나기도 했다.
대한상의는 이러한 새로운 소비계층 공략하기 위해서는 우선 노년층을 타깃으로 한 리서치능력 보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주로 20~30대 젊은 층의 감각을 따라잡기 위한 리서치와 마케팅 전략이 주였다면 이제는 노인들의 감성과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필수적이라는 것. 또 이들의 필요에 부합하는 제품을 출시하고 원스톱으로 이들의 요구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상의는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테러위협 등 불안감이 가중되면서 가족과 자연 등 본질적인 니즈를 추구하려는 소비성향이 커지고 있다며 슬로비족이나 로하스족 등 자연 친화적이고 심플한 삶을 추구하려는 소비자집단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정보화의 진전과 상품의 범람, 20~30대 소비계층의 경제력 향상으로 비용대비 혜택을 꼼꼼히 따지는 엘리트형 소비 역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보보스족이나 예티족 등이 이러한 부류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경제·사회 환경이 변함에 따라 새로운 소비자집단이 출현하는 등 소비유형도 유기적으로 변하기 마련"이라며 "이러한 환경변화를 선제적으로 감지해 제품을 생산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마련하는 기업만이 향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라고 말했다.
김지산 기자 san@stockdaily.co.kr
Copyrightⓒ스탁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달기
Name :
pwd :
Comment :
상호명 : (주)엑스퍼트컨설팅 대표이사
: 김정문 사업자등록번호 : 116-81-48332
주소 :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79번지 롯데캐슬 파인힐 2층 Tel : 02)538-2221, Fax
: 02)538-6996